삼성SDI 유상증자 2025년 일정 총정리 | 기준일, 청약일, 신주상장까지
이번 유상증자 일정, 제대로 정리된 글은 여기뿐입니다.
2025년 삼성SDI가 대규모 유상증자에 돌입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신주배정 기준일, 권리락일, 청약 일정, 신주 상장일까지 투자자가 꼭 알아야 할 일정을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더불어 실전 투자 꿀팁, 자주 묻는 질문, 용어 정리, 공식 확인 방법도 함께 소개하니 끝까지 읽어보세요.
※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목차
- 1. 삼성SDI 유상증자 개요
- 2. 2025년 주요 일정표
- 3. 신주배정 기준일과 권리락일 설명
- 4. 신주인수권 거래와 청약 전략
- 5. 실전 시뮬레이션
- 6. 자주 묻는 질문(FAQ)
- 7. 용어 정리
- 8. 공식 일정 확인 방법
- 9. 마무리 요약
1. 삼성SDI 유상증자 개요
삼성SDI는 2025년 사업 확장 및 자금 조달을 목적으로 총 2조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합니다.
이번 유상증자는 기존 주주에게 신주인수권을 부여하고, 실권주 일반청약까지 허용되는 구조입니다.
2. 2025년 주요 일정표
삼성SDI 유상증자 관련 핵심 일정을 아래 표로 정리했습니다.
구분 | 날짜 | 설명 |
---|---|---|
신주배정 기준일 | 4월 18일(목) | 이날까지 주식 보유 시 신주인수권 배정 |
권리락일 | 4월 21일(월) | 신주 권리 사라지는 날, 주가 조정 발생 가능 |
1차 발행가 확정 | 4월 9일 | 146,200원으로 확정 (기준가) |
신주인수권 거래 | 5월 12일 ~ 5월 16일 | 증권사 HTS/MTS 통해 매매 가능 |
최종 발행가 확정 | 5월 16일 | 시장 상황 반영 후 최종 가격 결정 |
청약일 | 5월 21일 | 구주주 및 일반 투자자 실권주 청약 가능 |
신주 상장일 | 6월 13일 | 신주 거래 시작일 (유동성 증가 예상) |
※ 일정은 한국거래소와 삼성SDI 공시 기준이며, 일부 변동 가능성 있음
3. 신주배정 기준일과 권리락일 설명
신주배정 기준일은 4월 18일(목)입니다.
이 날까지 삼성SDI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신주인수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주식 결제는 T+2일이므로 4월 16일(화)까지 매수해야 합니다.
권리락일은 4월 21일(월)입니다.
이 날부터 신주인수권 권리가 사라지기 때문에, 주가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4. 신주인수권 거래와 청약 전략
신주인수권 거래는 5월 12일(월)부터 5월 16일(금)까지 진행됩니다.
이 기간 동안 기존 주주는 해당 권리를 매도하거나, 더 매수하여 청약 수량을 늘릴 수 있습니다.
청약일은 5월 21일(수) 하루이며, 구주주 우선 청약 후 실권주는 일반인에게도 열립니다.
- 보유 지분 외 추가 청약을 원한다면 신주인수권 매입 고려
- 실권주 청약은 청약 경쟁률 낮을 경우 고수익 가능성
- 공모가보다 시장가가 높다면 당일 상장 시 매도 전략 유효
※ 청약 참여는 증권사 HTS, MTS에서 가능하며, 일부는 오프라인 청약만 허용될 수 있습니다.
5. 실전 투자 시뮬레이션
이제 실제로 투자자가 유상증자에 참여했을 때 어떤 상황이 펼쳐질 수 있는지, 간단한 시뮬레이션으로 확인해봅시다.
- 4월 16일 삼성SDI 주식 10주 보유
- → 1:1 신주인수권 배정으로 10주 청약 가능
- → 청약일에 발행가 146,200원으로 10주 청약 (총 1,462,000원)
- → 신주 상장일(6월 13일) 기준 주가 가정: 158,000원
ㅇ 수익 계산:
- 158,000원 - 146,200원 = 11,800원 차익/주
- 11,800원 × 10주 = 118,000원 수익
ㅇ 반대 시나리오:
- 신주 상장일 주가가 140,000원 이하로 떨어지면 손실 발생
- 146,200원 - 140,000원 = 6,200원 손실/주
- × 10주 = 62,000원 손실
유상증자 청약은 장기 보유가 아닌, 단기 차익을 노릴 경우 리스크 관리가 필수입니다.
상장 직후 유동성 폭등에 따라 시세차익을 노릴 수 있지만, 손실 가능성도 존재하므로 목표 주가 설정은 필수입니다.
6. 자주 묻는 질문(FAQ)
Q1. 신주인수권이 뭔가요?
A. 신주인수권은 기존 주주가 유상증자에 참여해 신주를 일정 비율로 우선 청약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이 권리는 별도로 매매할 수도 있어, 필요 없는 경우 증권사 HTS/MTS에서 매도 가능합니다.
Q2. 기준일 이전에 매수하면 무조건 신주를 받을 수 있나요?
A. 아니요. 기준일 이틀 전(T+2 결제 기준)까지 매수해야 실제 주주로 인정되어 신주인수권 배정 대상이 됩니다.
Q3. 실권주 청약은 누구나 가능한가요?
A. 구주주가 청약을 하지 않아 남은 주식(=실권주)는 일반 투자자도 참여 가능합니다.
실권주 청약은 공모주 청약과 유사하며, 증권사 공지사항 또는 고객센터에서 방법 확인이 가능합니다.
Q4. 청약한 신주는 언제 매도 가능한가요?
A. 신주 상장일인 6월 13일(목)부터 자유롭게 매도 가능합니다.
단, 유상증자로 인한 단기 물량 출회로 인해 변동성이 클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7. 관련 용어 정리
유상증자와 관련된 기본 용어들을 정리해봤습니다. 주식 입문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간단하게 설명합니다.
용어 | 설명 |
---|---|
유상증자 | 회사가 돈을 받고 주식을 새로 발행하는 것. 주주가 새 주식을 사면서 자본금을 확충함. |
신주배정 기준일 | 해당 날짜까지 주식을 보유한 사람에게 신주인수권이 주어지는 기준일. |
권리락일 | 신주 청약 권리가 사라지는 날. 이 날 이후 주가는 하락할 수 있음. |
신주인수권 | 기존 주주가 새로 발행되는 주식을 우선 청약할 수 있는 권리. 매매도 가능. |
실권주 | 기존 주주가 청약하지 않은 남은 물량. 일반 투자자에게 기회가 열림. |
※ 이 용어들은 유상증자뿐만 아니라 공모주나 일반 주식 투자에도 자주 등장합니다.
8. 공식 일정 확인 방법 (DART & 거래소)
삼성SDI 유상증자 관련 일정은 아래 공식 경로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DART 전자공시시스템 이용법:
- https://dart.fss.or.kr 접속
- 검색창에 삼성SDI 입력
- [공시유형]에서 ‘증권발행실적보고서’ 또는 ‘유상증자’ 선택
- 발행 조건, 일정, 신주 관련 정보 확인 가능
한국거래소 공시 확인법:
- https://kind.krx.co.kr 접속
- ‘공시 보기’ → ‘회사명 검색’ → 삼성SDI 입력
- 유상증자 일정, 주가 변동 공시 확인 가능
직접 확인하는 습관은 투자 실패를 줄이는 최고의 방어입니다.
9. 마무리 요약
ㅇ 핵심 일정 요약표
- 신주배정 기준일: 2025년 4월 18일 (목)
- 권리락일: 2025년 4월 21일 (월)
- 신주인수권 거래: 5월 12일 ~ 5월 16일
- 청약일: 5월 21일 (수)
- 신주 상장일: 6월 13일 (금)
삼성SDI 유상증자는 장기 투자자든, 단기 참여자든 명확한 일정 이해와 전략이 핵심입니다.
특히 권리락일, 신주인수권 매매, 청약 일정은 주가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꼼꼼한 일정 체크가 필요합니다.
ㅇ 당신의 생각은?
이번 유상증자, 여러분은 어떻게 대응하실 건가요?
댓글로 경험을 나눠주시면 많은 투자자에게 도움이 될 것이니 같이 상호 도움주며 성장해요!!
'경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미국 관세전쟁 2라운드|트럼프 재선 이후 미국 주식시장 전망 (4) | 2025.04.29 |
---|---|
비트코인, 2025년 20만 달러 가능할까? 경제 뉴스로 살펴본 전망 총정리 (8) | 2025.04.27 |
SKT 해킹 이후 KT·LG유플러스 유심 보안 대책 비교 (확인 안하면 손해) (0) | 2025.04.26 |
SKT 유심 무료 교체 후기 (준비물, 소요시간 정리) (2) | 2025.04.26 |
SKT 해킹 관련 유심 교환 방법 (0) | 2025.04.26 |